파티션을 나누는 이유 : 사용 목적에 의해 적절한 크기(용량)로 분할. 윈도우의 C드라이브, D드라이브도 파티션으로 나눈 것.
리눅스의 파티션 종류
1) Primary Partition(주 영역 파티션)
- 4개의 영역까지만 파티션 분할 가능.
2) Extended Partition(확장 영역 파티션)
- 1개의 파티션 분할만 가능
*Primary Partition과 Extended Partition 합하여 4개의 파티션까지'만' 나눌 수 있음.
3) Logical Partition(논리 영역 파티션)
- Extended Partition이 있어야 추가 Logical Partition으로 나눌 수 있음.
* 참고로 Primary Partition과 Extended Partition은 합하여 4개까지 사용 가능하지만,
Extended Partition과 Logical Partition을 조합하여 Maximum 4개를 초과하여 사용할 수 있음.
마운트 : 기본 하드디스크가 아닌 추가로 연결한 장치를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것.
mount [외부장치명] [마운트포인트]
* 마운트포인트란 외부에서 연결한 장비를 안착시킬 위치.
* 읽기 전용으로 마운트 : mount -r [외부장치명] [마운트포인트]
(Default는 -w 옵션. 읽기 쓰기가 가능한 마운트. 생략 가능)
※아래 작업 중 'mkfs -t ext4 [외부장치명]' 는 초기화하는 작업이므로 필히 유의!!
- 순서 : AWS에서 Volume Attach -> EC2 접속 후 fdisk -l 을 입력하여 disk명 확인
-> mkfs -t ext4 [외부장치명] -> mount [외부장치명] [마운트포인트] -> df -h로 확인
** fdisk -l 을 입력하여 현재 서버에 붙어있는 디스크를 확인 먼저 할 것.
UNMOUNT 시키는 방법.
umount: /20190530: target is busy.
(In some cases useful info about processes that use
the device is found by lsof(8) or fuser(1))
위와 같은 문구가 발생하며, umount 되지 않을 경우 옵션을 사용하여 unmount 가능.
- vi /etc/fstab 을 이용하여 영구 마운트
'마운트시킬 디스크 위치' '마운트시킬 위치' '디스크 타입(ext4, xfs, 등)' '파일시스템 고유옵션(defaults 쓰면 될듯)' 'fsck명령어(무결성 체크 여부) 0 또는 1' 을 사용하여 영구마운트 시킨다.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RPM과 YUM (0) | 2019.06.07 |
---|---|
Server Hostname 변경하기 (0) | 2019.06.07 |
SHELL vs. KERNEL(shell script의 이해) (0) | 2019.05.22 |
2019-03-04 / Basic Linux -1 (0) | 2019.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