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WEB-LB와 mod_proxy & mod_jk를 통한 서버 구성
 -. WEB-Server의 Apache에 mod_jk 혹은 mod_proxy 설정을 통해 로드밸런싱 가능.
 -. WEB-Server와 WAS-Server 간의 통신 에러 발생 시, src IP 확인이 가능함.
   (src IP가 확인 가능할 경우, 통신이 비정상적인 상황에서 통신 확인 가능)

 

 

2. WEB-LB와 WAS-LB를 통한 서버 구성
 -. 통신 에러 발생 시, WEB, WAS간의 통신 에러인지, LB와 WAS간의 통신 에러인지 확인 불분명.
   (WAS-Server에서 확인 시, LB IP가 출력됨)
 -. 이벤트 등으로 인한 WAS-Server 증설 시, 추가 설정이 적음.

 -. AWS&AZURE TAM 또한, 해당 형식으로 아키텍쳐 구성 추천

반응형
반응형

Apache
 1. WEB-Server를 구동시키는 역할
 2. mod_jk 또는 mod_proxy 설정을 통하여 WAS에 로드밸런싱을 할 수 있음.(Apache와 Tomcat 연동)
   *mod_jk 
        -. 발전된 로드 밸런서 / 패킷 사이즈 8K 이상 지원
        -. 별도 모듈을 빌드하고 관리 필요
    mod_proxy
        -. 패킷 사이즈 8K 이상 지원하지 않음
        -. 도메인 모델 클러스터링을 지원하지 않음
        -. 별도 모듈이 필요 없음


Tomcat
 1. WAS-Server를 구동시키는 역할

반응형

'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 서버 NTP 서버 확인  (0) 2021.11.03
Tomcat Port Redirect 하기(iptables)  (0) 2021.08.05
Redhat 계열에서 Apache 설치 및 확인(With YUM)  (0) 2020.07.01
WEB/WAS Architecture  (0) 2020.04.0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