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find '찾을 위치' -name '찾을파일명' 으로 검색할 것.

위의 캡쳐 화면에서는 find / -name java 를 입력하였고, java가 있는 모든 경로가 출력됨.

 

※whereis, which, grep 등의 명령어도 정리해볼 것.

 

반응형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에서 su 명령어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때.  (0) 2019.11.20
[About] crontab (리눅스 스케줄러)  (0) 2019.07.31
[Linux] 경고문구 삽입  (0) 2019.07.05
tail 명령어  (0) 2019.07.05
반응형

※ 경고문구를 수정하기 전, /etc/ssh/sshd_config 에서

'Banner /etc/issue.net'의 주석(#) 제거여부 확인할 것.

Banner의 주석(#)이 제거된 상태.

 

1. 서버 로그인 전, 아이디 입력 후 계정문구를 볼 수 있게 함.

- vi /etc/issue.net  (vi 편집기를 사용하여, 문구 수정)

'issue.net'를 수정 후 cat을 통해 내용을 확인.
아이디 입력 후 문구가 출력

 

 

2. 서버 로그인 후, 경고문구를 출력할 수 있게 함.(간단한 서버 정보를 입력하면 좋을 것 같음)

- vi /etc/motd (vi 편집기를 사용하여, 문구 수정)

cat 명령어를 이용해보면 기본적으로 아무것도 들어있지 않음.

 

서버 정보, 환경 등 관련 Info를 적어두면 접속 시, 헷갈리지 않을 것.

 

* 위와 같이 적용이 완료되었으며, 수정 완료 후에는 적용이 안될 경우, sshd를 RESTART 해줘야 한다.

    'systemctl restart sshd'

설정 화면이 적용된 모습.

반응형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About] crontab (리눅스 스케줄러)  (0) 2019.07.31
find 명령어를 사용하여 경로 찾기  (0) 2019.07.09
tail 명령어  (0) 2019.07.05
Timezone 변경하는 방법  (0) 2019.06.07
반응형

Tail 명령어
 - 파일의 마지막 부분을 보여주는 기능
 - LOG를 보고있을 때 사용하면 편리
 - 'tail -f [file name]' : file의 마지막 10줄을 출력하여 보여줌.
   * 100줄을 보고싶다면, 'tail -100f [file name]' 을 입력하여 출력
 - f옵션 : output appended data as the file grows(추가되는 데이터를 계속 출력)

 

 

tail -f 'file명'을 입력하여, Default 10Lines 출력.

 

Appended Data가 지속적으로 출력됨을 확인할 수 있음.

 

반응형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find 명령어를 사용하여 경로 찾기  (0) 2019.07.09
[Linux] 경고문구 삽입  (0) 2019.07.05
Timezone 변경하는 방법  (0) 2019.06.07
RPM과 YUM  (0) 2019.06.07
반응형

1. 현재 붙어있는 디스크를 확인한다. ( 명령어 : df -h )

2. AZURE로 접속하여 Storage Account(스토리지 계정)으로 들어간다.

- 사전에 리소스그룹을 포함한 계정을 생성하여야 한다.

파일을 클릭하여 공유할 디렉토리를 생성할 수 있음.

 

2-1. 파일을 클릭했을 때, 화면으로 파일공유를 누르면 20190610-2131 외에 다른 공유 디스크(부르기 쉽게)를 생성할 수 있다.

 

- 20190610-2131 디스크를 들어갔을 때의 모습으로, 21h31m 폴더를 생성해두었다.

- 연결을 누를 경우 'Linux', 'Window', 'Mac OS'용 연결 명령어 혹은 방법이 보인다.

 

 

3. '연결'을 클릭 후 보이는 명령어를 Copy & Paste 후 'df -h' 명령어 입력한 모습.

4. Mount된 디스크의 종류를 알아야, 나중에 어떤 타입의 디스크가 마운트되어있는지 알 수 있으며,

fstab 을 통하여 재부팅 후에도 자동 마운트 시킬 때 사용할 수 있음.(추후 테스트 필요)

'//ze~~~~~/20190610-2131' 은 cifs 타입의 파일 종류로 확인됨.

- 명령어는 'df -T'  (파일 타입을 볼 수 있음)

 

 

5. fstab을 적용하기 위해 Storage Account를 2개 생성하여, 두 개의 파일을 Attach.

zesungtaekyoo, zesungtaekyoo2.

- 주의해야 할 점은 위의 '연결'을 선택하여 Attach할 수 있는 문장을 그대로 복사하여 붙여넣으면 같은 이름으로

Attach 되기 때문에 마운트할 폴더명을 변경해줘야 한다. zesungtaek에 숫자 2를 붙여 다른 폴더로 마운트 시킨 것임.

 

 

*fstab은 추후에 테스트하여 새로운 글을 작성 예정.

 

 

참고!

1.FileSystem Device Name(파일시스템장치명)

파일시스템장치명은 곧 파티션들의 위치를 말합니다. 위에 fdisk -l를 처서 나온 부분을 보시면 /dev/sdb1~6까지의 파티션장치의 위치 즉, 주소를 나타내는것이 보일겁니다.

이러한 장치면을 써주는 필드입니다. 그대로 /dev/sdb1이런식으로 쓸수도있지만

라벨(Label)을 이용해서도 사용 가능합니다. 다른 항목들 소개후 라벨과 장치명 모두 사용하는 예를 들어보도록 할께요.

 

2.Mount Point(마운트포인트)

등록할 파티션을 어디에 위치한 디렉토리에 연결할것인지 설정하는 필드입니다.

마운트 시켜줄 디렉토리 경로를 써주시면되요.

 

3.FileSystem Type(파일시스템 종류)

파티션 생성시 정해줬떤 파일시스템의 종류를 써주는 필드입니다. 저희는 ext3으로 파일시스템을 설정하였기때문에 ext3을써줘야 합니다. 일단 파일시스템은 무슨 종류들이 있는지 소개해드리도록 할께요.

 

ext         -초기 리눅스에서 사용하였던 종류, 현재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ext2       -현재도 사용하며, 긴~파일시스템이름을 지원하는것이 특징입니다.

ext3       -저널링 파일시스템, ext2보다 파일시스템의 복수/보안기능을 크게향상되었고     

  현재 기본 파일시스템으로 쓰이고 있습니다.

ext4       -16TB까지만 지원하던 ext3과 달리 더큰 용량을 지원하며, 삭제된 파일 복구, 

  파일 시스템 점검속도가 훨~씬 빨라진 파일시스템입니다.

iso9660   -DVD/CD-ROM을 위한 표준 파일시스템으로 읽기만 가능합니다.

nfs         -원격서버에서 파일시스템 마운트할때 사용하는 시스템(Network File System)

swap     -스왑파일시스템, 스왑공간으로 사용되는 파일시스템에 사용합니다.

ufs        -Unix system에서 표준 파일시스템으로 사용합니다.(Unix File System)

vfat        -윈도우95/98등등 ntfs를 지원하기위한 파일시스템에 사용합니다.

msdos    -MS-DOS파티션을 사용하기위한 파일시스템에 사용합니다.

ntfs        -윈도우NT/2000의 nfts를 지원하기위한 파일시스템에 사용합니다.

hfs        -MAC컴퓨터의 hfs를 지원하기위한 파일시스템에 사용합니다.

hpfs      -hpfs를 지원하기위한 파일시스템에 사용합니다.

sysv      -Unix system v를 지원하기위한 파일시스템에 사용합니다.

ramdisk   -RAM을 지원하기위한 파일시스템에 사용합니다.

 

4.Mount Option(마운트옵션)

파일시스템에 맞게 사용되는 옵션들을 설정하는 필드입니다.

옵션들의 종류들부터 소개해드리도록 할께요.

 

default -    rw, nouser, auto, exec, suid속성을 모두 설정

auto    -    부팅시 자동마운트

noauto    -    부팅시 자동마운트를 하지않음

exec    -    실행파일이 실행되는것을 허용

noexec    -    실행파일이 실행되는것을 불허용

suid    -    SetUID, SetGID 사용을 허용

nosuid    -    SetUID, SetGID 사용을 불허용

ro    -    읽기전용의 파일시스템으로 설정

rw    -    읽시/쓰기전용의 파일시스템으로 설정

user    -    일반사용자 마운트 가능

nouser    -    일반사용자 마운트불가능, root만 가능

quota    -    Quota설정이 가능

noquota    -    Quota설정이 불가능

 

5.Dump

덤프(백업)가 되어야 하는지 설정하는 필드입니다.

덤프 옵션은 0과 1만 존재합니다.

 

0    -    덤프가 불가능하게 설정

1    -    덤프가 가능하게 설정

 

6.File Sequence Check Option

fsck에 의한 무결성 검사 우선순위를 정하는 옵션입니다.

0,1,2 총 3가지 옵션이 존재합니다.

 

0    -    무결성 검사를 하지 않습니다.

1    -    우선순위 1위를 뜻하며, 대부분 루트부분에 설정을 해놓습니다.

2    -    우선순위 2위를 뜻하며, 1위를 검사한후 2위를 검사합니다.

대부북 루트부분이 1이기때문에 루트부분 검사후 검사합니다.



                                  '참고!' 부분 출처: https://movenpick.tistory.com/34 [MoVenPick] 님의 블로그

반응형

'AZURE Cloud' 카테고리의 다른 글

AZ-900 Course  (0) 2020.03.25
AZURE Certification  (0) 2019.07.19
Snapshot 만들기  (0) 2019.05.30
반응형

Linux Timezone 변경 방법
1. 'date'를 입력해 현재 시간을 확인한다.
2. 원하는 Timezone을 설정할 수 있음(Asia Seoul, America New_York 등.)


3. super user 계정으로 접속하여, 'ln -sf /usr/share/zoneinfo/Asia/Seoul /etc/localtime'을 입력하여 시간 변경.
4. 'date'를 입력하여 변경된 시간을 확인한다.
5. 정확한 시간 세팅을 위해 시간 동기화를 한번 진행해줌(Optional)
  *rdate라는 Command를 입력하는데, 이 명령어는 설치가 필요하다.
  ('sudo yum install -y rdate')
 


 ※추후 TimeServer를 구축해보는 것도 좋은 경험이 될 것같음.

반응형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경고문구 삽입  (0) 2019.07.05
tail 명령어  (0) 2019.07.05
RPM과 YUM  (0) 2019.06.07
Server Hostname 변경하기  (0) 2019.06.07
반응형

RPM, YUM
*Linux 패키지 인스톨 프로그램이라는 공통점.

1. RPM(Redhat Package Manager)
 - Package Dependency. 설치하고자 하는 패키지를 모두 가지고 있어야한다는 단점.
 - CD를 넣고 RPM으로 돌리는 방식을 사용하는게 대부분.
 - CD를 넣은 후에는 지난번에 Mount를 했던 방식을 사용하여, Input을 확인 후 설치하면 될 것으로 생각.
 ※RPM 사용법
   - 설치 : rpm -Uvh [패키지파일(*.rpm)]
   - 삭제 : rpm -e [패키지이름]
     이미 삭제된 패키지 확인 : rpm -qa [패키지이름]
 아직 설치되지 않은 rpm 파일 확인 : rpm -qlp [패키지파일(*.rpm)]
   - 패키지 정보 쿼리 : rpm -ql
   - 연관된 rpm 파일 정보 출력 : rpm -qf
    

2. YUM(Yellodog Updater Modified)
 - RPM을 완벽히 대체하는 프로그램(rpm의 패키지 의존성 문제를 해결)
 - 인터넷 저장소(mirror)를 통해 설치할 수 있으므로 모든 패키지를 가지고 있을 필요는 없음.
 - 인터넷 통신이 되야 하며, 외부 repository와 통신하면 됨.
 - 웹에서 다운받아와 설치.

반응형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tail 명령어  (0) 2019.07.05
Timezone 변경하는 방법  (0) 2019.06.07
Server Hostname 변경하기  (0) 2019.06.07
Mount & fstab  (0) 2019.05.29
반응형

서버를 처음 세팅할 경우, yst@x.x.x.x (로그인계정@서버IP)로 보여진다.

 

이 때, 뒤 서버 IP를 변경할 수 있음.

 

hostname 명령어를 통해 현재 호스트네임을 사용함.

hostnamectl set-hostname [하고픈 이름]

 

위의 경우,

hostnamectl set-hostname dennisyoo 를 입력했다.

 

서버 로그아웃 후 재접속하게 되면, root@dennisyoo 로 출력될 것임.

*서버 IP를 숨길 수 있기 때문에 블로그 사용 시, 유용함

반응형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mezone 변경하는 방법  (0) 2019.06.07
RPM과 YUM  (0) 2019.06.07
Mount & fstab  (0) 2019.05.29
SHELL vs. KERNEL(shell script의 이해)  (0) 2019.05.22
반응형

AZURE는 AWS와 달리 Image를 생성하는게 약간 까다로움.

 

1. Disk를 Snapshot으로 만들어야 한다.(여러 개의 Disk가 붙어있는 경우에는 모든 Disk를 Snapshot 만들어야함)

 * DISK는 기존에 사용하던 타입과 같은 것으로 할 것.(SSD -> SSD, HDD -> HDD)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아마 SSD->HDD 인 경우로 판단됨)

 

2. Managed Disk를 만들어야 한다.

 

3. 만들어진 Managed Disk를 통하여 VM을 생성한다.

* 이때! 참고할 점은 데이터디스크를 따로 추가하지 말아야 한다는 점!!(아래 박스 추가 필요없음.)

 

VM 생성 완료!!

반응형

'AZURE Cloud' 카테고리의 다른 글

AZ-900 Course  (0) 2020.03.25
AZURE Certification  (0) 2019.07.19
StorageFile Mount  (0) 2019.06.1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