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RDS Parameter 확인
- Parameter Group 및 Option Group은 각각의 RDS Engine과 Version마다 필요함.
- RDS를 생성하기 전 Parameter Group 및 Option Group을 생성해야 한다. 또한, Security Group도 사전에 만들어두면 나중에 바꿀 필요가 없음.
- Default Parameter Group과 Option Group의 속성 설정을 변경할 수 없기 때문에 초기에 설정 변경이 필요없다 하더라도, 먼저 버전에 맞는 그룹을 생성하고 세팅해줄 것 추천. 추후 변경 시, 재부팅 필요함
- Security Group은 RDS를 생성 과정에서 신규로 생성할 수 없기 때문에(EC2 생성시에는 만들 수 있음) 정책이 없는 Security Group이라도 사전에 만들어서 Attach할 것.
2. RDS Parameter 및 Option 변경
- 현재 값과 변경될 값을 확인할 수 있음. 변경할 시점을 선택할 수 있음.
- Apply during the next scheduled maintenance window(해당 RDS에 유지보수 작업이 예정되면 해당 기간에 재부팅과 함께 변경됨.)
- Apply immediately(변경된 사항이 즉시 적용되며, 재부팅 필요.)
3. RDS Parameter 속성 변경
Parameter 속성 변경 후 재부팅이 필요한지 여부는 ‘Apply type’을 보고 확인 가능.
- Type이 Dynamic인 경우, 속성값 변경 후 재부팅이 필요 없음.
- Type이 Static인 경우, 속성값 변경 후 재부팅 필요.
* 속성값 변경 진행하기 전, Snapshot 생성 추천.
'AWS Cloud' 카테고리의 다른 글
From 프라이빗 서브넷 To 인터넷 연결 (0) | 2020.12.03 |
---|---|
RDS 한글 깨질 때, 속성 변경 (0) | 2020.11.30 |
CloudFront의 이해와 설정 (0) | 2020.11.25 |
인스턴스 Status Check Error 발생 (0) | 2020.1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