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IaaS / PaaS / SaaS
1.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 서버를 운영하기 위해 Server, IP, Network, Storage 등 구축이 필요.
-. 가상환경에서 쉽고 편하게 이용할 수 있게 서비스 형태로 제공.
-. HardWare보다 확장성이 좋고 탄력적이며 빠른 제공을 할 수 있음.
2. PaaS(Platform as a Service)
-.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는 환경과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API까지 제공하는 형태
3. SaaS(Software as a Service)
-. Cloud 환경에서 동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는 것.
-. 메일 서비스가 대표적인 예.
-. 사용자는 메일 시스템이 어떻게 동작하는지, 백업이 어떻게 진행되는지는 알 필요가 없으며, 단순히 사용만 하면 되는 환경
( 이미지 출처 : https://www.bmc.com/blogs/saas-vs-paas-vs-iaas-whats-the-difference-and-how-to-choose/ )
*On-Premises : 위에 이미지와 같이 모든 물리장비 구비가 필요함.
-. 초기 구축 비용에 많은 투자 필요.
-. 서버 사용 대수와 기타 부자재가 일정하게 유지된다면 장기적으로는 비용이 저렴할 수 있음.(클라우드 서비스에서 비용 최적화가 진행되지 않는다는 가정.)
-. 탄력적으로 시스템 운영 불가(이벤트 서버 증설 등)
반응형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SERVICE HEALTH DASHBOARD (0) | 2021.04.09 |
---|---|
DevOps / SRE (0) | 2020.06.14 |
Docker(도커) 란 ? (0) | 2020.02.28 |
SSL - Wildcard Vs. SAN (0) | 2020.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