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신규 Instance 생성과 동시에 'Auto-assign Public IP' 기능을 사용할 경우

Step 1, 2(이미지 선택, 타입 선택은 건너 뜀)

 - Instance를 생성하면서, 'Auto-assign Public IP'를 사용하면 EIP를 별도로 생성할 필요 없이 Public IP를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해당 케이스는 Public IP가 변동되어도 상관 없다면 사용이 가능하다. 하지만, DDNS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Public IP가 바뀔 때 마다, DNS 설정을 변경해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생긴다.

 ex) Auto-assign Public IP 기능을 사용하여 받은 Public IP가 10.10.10.10일 때, DNS서버에

'www.dennsworld.com' == '10.10.10.10' 로 되어있을 것이고, 인스턴스가 Stop이 된다면 이미 할당받은 '10.10.10.10'은 사라지게 된다. 그렇게 된다면, 사용자들은 'www.dennsworld.com' 에 접속할 수 없다.(DNS 통신 불가)

 

 - 'Auto-assign Public IP'는 서버 상태가 'STOP'이 될 경우, 할당 받은 Public IP가 사라진다. 사라진 Public IP는 'START'할 경우, '다른' Public IP와 함께 시작된다!

  ex) 인스턴스를 시작하면서 '11.11.11.11'이라는 Public IP를 가지고 시작되었다면

DNS서버에서 'www.dennsworld.com' == '11.11.11.11' 로 변경해야 사용자가 접속 가능.

 

2. 변경되지 않는 Public IP를 사용하려면..

 - Auto-assign Public IP를 기본 설정으로 둔다. 'Use subnet setting(Disable)'

 - 인스턴스 생성 방법은 취향과 필요에 맞춰 생성하도록 하고.. 다 만들고 나면 EC2 서비스의 좌측 패널 중간에 위치한 'NETWORK & SECURITY' -> 'Elastic IPs'로 들어가서 새로운 EIP를 할당받는다. (영문버전에서는 Allocate new address)

새롭게 할당받은 EIP와 인스턴스를 연결해줘야 한다.

 

Associate address를 통해 연결해 줄 수 있으며, 아래를 참고.

할당받은 EIP와 Instance ID를 연결해주자.. Instance의 Name을 통해 입력해줘도 되고, Private IP를 입력해줘도 되니 편할대로 하면 된다.

 

 

 

 * 경고 : 이렇게 할당받은 EIP는 서버를 중지시켜도 EIP에 대한 비용은 계속 청구되니, 별도의 주의가 필요하다.

 

* 서버가 STOP되어도 내가 가지고 있는 Public는 고정되어있다는 장점과 WEB 서버를 신규 구축하여 이전할 경우에도 할당받은 EIP를 신규 인스턴스와 연결해주면 새로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물론 대부분은 LB를 사용하기 때문에 EIP를 이동시키는 경우는 거의 없을 것이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