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WEB-LB와 mod_proxy & mod_jk를 통한 서버 구성
 -. WEB-Server의 Apache에 mod_jk 혹은 mod_proxy 설정을 통해 로드밸런싱 가능.
 -. WEB-Server와 WAS-Server 간의 통신 에러 발생 시, src IP 확인이 가능함.
   (src IP가 확인 가능할 경우, 통신이 비정상적인 상황에서 통신 확인 가능)

 

 

2. WEB-LB와 WAS-LB를 통한 서버 구성
 -. 통신 에러 발생 시, WEB, WAS간의 통신 에러인지, LB와 WAS간의 통신 에러인지 확인 불분명.
   (WAS-Server에서 확인 시, LB IP가 출력됨)
 -. 이벤트 등으로 인한 WAS-Server 증설 시, 추가 설정이 적음.

 -. AWS&AZURE TAM 또한, 해당 형식으로 아키텍쳐 구성 추천

반응형
반응형

반응형

'AZURE Cloud' 카테고리의 다른 글

AZURE Certification  (0) 2019.07.19
StorageFile Mount  (0) 2019.06.10
Snapshot 만들기  (0) 2019.05.30
반응형

AZURE는 AWS와 달리 Image를 생성하는게 약간 까다로움.

 

1. Disk를 Snapshot으로 만들어야 한다.(여러 개의 Disk가 붙어있는 경우에는 모든 Disk를 Snapshot 만들어야함)

 * DISK는 기존에 사용하던 타입과 같은 것으로 할 것.(SSD -> SSD, HDD -> HDD)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아마 SSD->HDD 인 경우로 판단됨)

 

2. Managed Disk를 만들어야 한다.

 

3. 만들어진 Managed Disk를 통하여 VM을 생성한다.

* 이때! 참고할 점은 데이터디스크를 따로 추가하지 말아야 한다는 점!!(아래 박스 추가 필요없음.)

 

VM 생성 완료!!

반응형

'AZURE Cloud' 카테고리의 다른 글

AZ-900 Course  (0) 2020.03.25
AZURE Certification  (0) 2019.07.19
StorageFile Mount  (0) 2019.06.1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