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Timezone 변경 방법

  1. rdate : 서버와 NTP 서버(ex. time.bora.net) 시간을 동기화하는 방법

  2. timedatectl : 내가 설정한 시간 확인이 가능하며, 옵션을 통해 설정 변경 가능

  timedate set-timzone을 통해 hwclock(Hardware Clock)까지 변경 가능.

 

date

명령어를 입력하면 system의 시간 입력

 

 

hwclock

하드웨어 시간 출력

 

 

 

2. rdate

rdate -s time.bora.net

위 명령어를 입력하면 time.bora.net(보편적으로 사용하는 NTP 서버)의 시간을 동기화할 수 있음.

rdate는 경우에 따라, 설치가 필요할 수 있으니 인터넷이 되는 환경에서 yum을 통해 설치.

 

- time.bora.net 서버가 나타내는 시간은 -p 옵션을 통해 확인 가능.

- NTP 서버와 통신을 위해서 포트가 열려있는지 확인이 필요함.(UDP 37, UDP 123 오픈 필요)

 

 

3. timedatectl

timedatectl

Local time(한국 기준 KST), Universal time(UTC)를 확인 가능. 해당 명령어는 NTP서버를 보고 있는게(?) 아니기 때문에 시스템이 재부팅되더라도 HW시간, 서버을 걱정하지 않아도 됨. 경우에 따라 재부팅 시에 시스템 시간을 따라가는 경우가 있고, 하드웨어 시간을 따라가는 경우도 있음.

 

 

 

 

timedatectl set-timezone [대륙/지역]

위에서는 'timedatectl set-timezeon America/New_York'이 입력되었으며, America/New-York은 탭키를 누르면서 찾을 수 있음(ex. Asia/Tokyo는 A + 'tab'/Toky + 'tab' 키를 입력하여 찾을 수 있음)

 

 

timedatectl을 추천합니다.

 

 

* 주기적으로 시간을 맞춰주고자 할때는 crontab을 같이 사용.

 

반응형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fallocate - 원하는 용량의 파일 생성  (0) 2021.11.02
Linux 부팅 문제 발생 시, 대처 방법  (0) 2020.11.22
LVM 생성  (0) 2020.11.06
[Linux] fstab  (0) 2020.07.1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