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rver

Redhat 계열에서 Apache 설치 및 확인(With YUM)

Sungtaek, YOO 2020. 7. 1. 15:48
반응형

0. 들어가며..

Yum을 통해 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RPM(Redhat Package Manager)을 통해 매우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음.

패키지 관리 툴은 설치와 삭제 등을 사용자가 쉽게 작업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함

 

우선 RPM은 레드햇 계열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니, 리눅스 계열에 따라 패키지 관리를 진행하면 됨.

 CentOS는 Redhat 계열이기 때문에 정상적으로 RPM을 통한 패키지 관리 가능

 

Ubuntu는 Debian 계열로 RPM 사용 불가

위와 같이, Ubuntu는 apt로 사용 가능하다는 문구가 출력됨.(apt : Advanced Packaging Tool)

 

(정정)Ubuntu는 apt를 통해 rpm을 설치해야함. apt을 통해 rpm 대체가 가능. (2020-07-17)

 

 

1. 어떤 계열의 리눅스를 사용하는지 확인(Redhat? Debian?)

- 내가 사용하고 있는 Linux가 무엇인지 확인하는 방법은 매우 간단하다. 얼마 전에도 글을 작성했지만, /etc에는 시스템의 거의 모든 설정이 들어있기 때문에 /etc 디렉토리를 통해서 현재 사용중인 OS 확인이 가능하다.

명령어 : cat /etc/os-release

Red Hat Enterprise Linux Server 7.6 (Maipo)를 사용

혹시나, 'Red Hat 계열이 아닌 경우는 어떻게 확인하지..?'라는 의문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Ubuntu 환경에서도 동일한 방법으로 OS를 확인하여 보았음.

 

Ubuntu 18.04.4 LTS 버전

 

2. Apache가 설치되어있는지 확인

명령어 : rpm -qa httpd, yum list httpd

 

List에서 Httpd가 보이지 않음.

해당 명령어가 궁금한 경우 rpm --help 를 통해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바로 아래 참고)

q : 쿼리, a : all

아파치가 설치된 경우에 출력되는 list는 아래 설치 완료 후 나올 예정.

 

3. Apache 설치하기

명령어 : yum install httpd

Apache 뿐 아니라, 어떠한 패키지를 설치하고자 한다면 Root 권한이 있는 계정으로 접속해야 한다. Root 계정이 아니라고 해서 잘못되는 건 아니고, 단순히 아래와 같은 문구가 뜰 뿐..

'You need to be root to perform this command.'

 

계정을 su 계정으로 변경 후 위 명령어를 다시 입력하면 정상적으로 설치가 진행됨

주루룩
Is this ok [y/d/N] : 

어느 정도의 용량이며 설치를 진행할 것인지를 묻는 글이 나온다. 물론 'y'

 

하단에 'Complete!' 문구를 본다면 설치가 완료된 것.

 

명령어 : rpm -qa httpd, yum list httpd

맨 위에 있는 설치 전과 비교했을 때, 'httpd-2.4.6-93.el7.x86 64'를 확인 가능.

 

4. 서비스 시작하기

명령어 : service httpd start

'service httpd start' == 'systemctl start httpd.service' 와 같은 명령어이며, Redirecting 된 것임(기본설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