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fstab
1. FSTAB의 용도
- 파일시스템 정보가 저장되어 있음.
- 해당 탭에 저장되지 않은 파일시스템이 있을 경우, 재부팅했을 때 기록되어 있지 않은 파일시스템은 마운트가 빠짐.
- /etc/fstab 에 위치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마운트시키고 싶은 경우에는 에디터를 이용하여 내용 수정이 필요.
- 즉, 영구적 마운트를 설정하는 탭
2. FSTAB 구성
명령어 : vi /etc/fstab
편집기를 사용하여 fstab을 수정할 경우, 위와 같은 화면이 나타난다.
[파일시스템장치] - [마운트 위치] - [파일시스템 종류] - [옵션] - [덤프] - [파일체크 옵션] 순으로 기록되어 있음.
[파일시스템 장치]
: 파일시스템 장치명이 입력되어야 하며, 명령어 df -h 를 입력할 경우 파일시스템 장치명을 확인할 수 있다.(ex. /dev/xvda1 과 같음.)
[마운트 위치]
: 말 그대로, 마운트 위치를 어느곳으로 할 지 입력하면 됨. 다른 글에도 작성했던 것 처럼, 마운트는 대체로 /mnt 에 위치시키기는 하지만 원하는 곳으로도 변경이 가능하다. /mnt 파일 안에 mkdir point1(point1 이라는 디렉토리 생성)을 입력하여 mnt 디렉토리 하위에 point1(이름은 알아서..)을 만들고 그 곳에 마운트 되도록 입력해주면 됨. 예시를 든 것이기 때문에 원하는 위치에 디렉토리를 생성하여 사용.
fstab은 현재 붙어있는 디스크를 영구적으로 마운트 시키는게 대부분이기 때문에 현재 마운트된 위치에 해주는 것이 바람직.
[파일시스템 종류]
: 파일 시스템은 다양. ext, ext2, ext3, ext4, nfs 등등이 있으며, 현재 마운트시키는 디스크의 종류가 무엇인지 필히 확인 후 입력해야한다.
명령어 : df -T (대소문자 구분)
해당 명령어를 입력해보면 현재 마운트되어있는 파일의 시스템 종류 확인이 가능.(옵션 T는 Type)
파일시스템 종류를 확인 후 fstab에 입력해주면 된다.
[옵션]
: 파일시스템을 용도에 맞게 사용하기 위한 속성을 설정하는 옵션. 옵션은 아래와 같은 종류가 있으며,
특별한 옵션 설정이 필요하지 않으면 default를 사용.
default : rw, suid, dev, exec, auto, nouser, async 옵션을 모두 선택한 것과 같다.
auto : 부팅시 자동으로 마운트 된다.
exec : 실행파일이 실행되는 것을 허용하는 파일 시스템이다.
suid : SetUID와 SetGID의 사용을 허용하는 파일 시스템이다.
ro : 읽기 전용 파일시스템이다.(Read Only)
rw : 읽고 쓰기(Read Write) 파일시스템으로 사용된다.
user : 일반 계정사용자들도 마운트를 할 수 있는 파일시스템이다.
nouser : root만 마운트할 수 있는 파일시스템이다.
noauto : 부팅시 자동으로 마운트 되지 않게하는 파일시스템이다
noexec : 실행파일을 실행되지 못하게 하는 파일시스템이다.
nosuid : SetUID와 SetGID의 사용을 허용하지 않은 파일시스템이다.
usrquota : 개별 계정사용자의 Quota설정이 가능한 파일시스템이다.(쿼터:사용자별로 디스크 할당을 조정(제한))
grp : 그룹별 Quota설정이 가능한 파일 시스템
[덤프]
: 0 or 1의 설정만 가능하며, 백업이 되어야 하는지 설정하는 필드.
0 - 백업이 불가능
1 - 백업이 가능
[파일체크 옵션]
: 0 or 1 or 2 의 옵션 설정이 가능.
0 - 무결성 검사를 진행하지 않음.
1 - 우선순위로 1순위. 보통 루트 파일시스템에 설정.(위 사진에서도 맨 윗줄에 1 옵션이 기록되어 있음.)
2 - 1순위 검사 후 2순위 검사 진행.